대상마을 | 가구 및 인구수 | 면적(ha) | ||||||
---|---|---|---|---|---|---|---|---|
읍면동 | 행정리 | 마을명 | 가구 | 인구 | 계 | 전 | 임야 | 기타 |
예래동 | 예래3통 | 상예2마을 | 235 | 504 | 889.3 | 332.7 | 454.9 | 101.7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하여 온대권에 속하는 서귀포시를 포함한 제주특별자치도의 기후는 대체로 온화한 편이나 강풍이 많으며 돌발적 기상 변화가 다발하고 있다. 서귀포시의 연평균 기온은 16.8℃로 제주시 보다 0.6℃가 높을 뿐만 아니라 서울에 비하여 4℃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중산간 지역은 이보다 7.6℃가 낮으며 `98년도 서귀포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17.5℃이다. 우리시의 기온은 여름에는 무덥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이는 도서적 환경과 관련하여 온대의 성격에다 해양적 요소가 가미되고 있어 강수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61~1990(30년간) 사이의 서귀포시 연평균 강수량은 1,771.4mm (`98년도 2,091.8mm)에 달하여 우리나라에서 강우량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기록되고 있다.
바람은 기온, 강수와 함께 3대 기후요소에 포함되는 것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있어서는 이 바람에 의해 기후 특성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서귀포시의 경우 한라산이 겨울 계절풍의 바람을 막아주고 있으나, `98년인 경우 초속 8m/s 이상의 강풍일수는 연간 48일로 나타나고 있다.
서귀포시를 포함한 제주특별자치도는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라는 이유 때문에 동일한 동물의 종(種)이라도 지리적 격리로 인한 아종(亞種)들이 많으며 동으로는 일본, 서로는 중국, 남으로는 오키나와, 대만 그리고 북으로는 한반도가 있어서 이동성이 많은 곤충이나 조류에서는 계절에 따른 종(種)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서귀포시는 지형면에서 볼 때 한라산 중심으로 정상에서 남사면으로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지형 및 경사도, 고도 등에 따라 기상요소가 반응하는 양상이 다양하고 토양의 분포도 다양하며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자생식물의 식생(植生)도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같은 환경조건으로 인하여 서귀포시는 우리나라 어느 지역보다 면적에 비하여 식물의 고유분자(固有分子)가 많으며 이들의 분포도 다양하여 한라산을 중심으로 남사면(南斜面) 해안에서 정상에 이르기까지 난대, 온대, 한대식물들이 1,800여종 분포되어 있다. 특히 이 지대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들의 분포범위를 세분하여 분류해 보면 고도에 따라 수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닷가로부터 해안식물지대, 평야식물지대, 산야식물지대, 낙엽활엽수림지대, 혼유림식물지대, 상록침엽수림지대, 관목림식물지대, 고산식물지대로 구분되어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서귀포 천지연과 중문 천제연 등 관광지역에도 특산식물과 희귀식물들이 다수종 분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