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마을 서귀포 상예마을

  • HOME
  • 마이인빌
  • 메일
  • 고객센터
  • 서브이미지

    • 원산지 : 만주를 중심으로 한 중국일원
    • 콩의 주요성분 :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사포닌 등 물질
    • 용도 : 나물용, 장류 및 두부용, 밥밑용, 풋콩용, 가공 및 공업용 등

    콩은 한국인의 삶을 지탱해 주는 대표적인 먹거리이자 우리는 콩으로 만든 제품을 먹지 않는 날이 거의 없다. 장의 주원료인 콩은 단백질 함유량이 많아 곡류보다 육류에 더 가깝다는 콩~!

    콩의 주성분은 단백질(40%)과 탄수화물(30%), 그리고 지질(20%)이다. 이외에 각종 비타민과 칼슘, 인, 철, 칼륨 등의 무기성분을 지니고 있다. 콩에 깃든 이들 영양 성분은 소고기 등심보다 월등히 높다. 그래서인지 예부터 사람들은 콩을 '밭에서 나는 쇠고기'로 일컬어 왔다.

    재배방법

    1. 종자선택
    시범포산 종자 또는 보급종
    병.충의 피해가 없는 종자

    2. 콩 이어짓기 장해차단
    콩을 이어짓기하면 토양선충이 만연하고 석회의 수탈로 땅가림 현상이 발생하여 수량이 떨어지므로 돌려짓기 지도

    3. 종자소독
    탄저병, 자주무늬병, 노균병, 미이라병 등 씨앗 전염성의 병해 및 토양병균에 발아불량을 차단하기 위하여 반드시 실시

    4. 씨뿌리기
    (1) 씨뿌리는 시기
    - 1모작(단작): 5월 중.하순
    - 2모작(맥후작): 6월 상순
    - 올콩: 4월 중.하순
    (2) 씨뿌리는 방법 : 산파를 하면 밀식 피해를 받게 되므로 줄사이 50~60cm 간격으로 줄뿌림 함으로써 볕 쪼임과 통품이 좋게 되어 다수확 할 수 있음
    (3) 씨뿌림 양 : 파종시기, 파종방법, 품종에 따라 다르므로 먼저 종자의 100립중을 파악하고 적정 포기수에 대한 파종량을 계산

    5. 거름주기
    다수확을 거두기 위하여 질소비료 4kg을 꽃피는 시기에 추비로 시용, 토양의 비옥도에 따라 가감 사용, 알맞은 양의 석회시용

    6. 관리
    잡초방제/ 북주기

    7. 병해충 방제

    8. 수확
    잎이 누렇게 변하여 떨어지고 콩 꼬투리의 80~90% 이상의 고유환경 성숙의 색깔로 변하는 시기(수분함량 18~20%정도)